1. 영화 <모가디슈>가 전하는 메세지
영화 <모가디슈>는 1991년 소말리아 내전을 배경으로 수도 모가디슈에서 탈출하는 한국 외교관 직원들의 이야기입니다. 실화를 바탕으로 한 내용으로 시대적 배경이나 사건 자체는 사실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습니다. 하지만 실화를 바탕으로 하더라도 사건을 선택하고 보여주는 것 자체로도 감독의 의견은 언제나 녹아들 수 있습니다.
이 작품은 실제 사건에서 느껴지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메시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바로 '인류애'입니다. 영화 전반적으로 쉽게 느껴질 수 있는 내용인데, 영화의 주제를 정리해 보자면 '비극속 모두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인류애를 발휘해 탈출해야한다.'라고 할수있습니다.
2. 갈등의 장소 <모가디슈>
소말리아의 수도인 모가디슈는 영화속에서 갈등의 장소로 비춰지고 있습니다. 독재 정권의 정부군과 반정부군 USC가 내전을 벌이고, 그 안에서는 내전으로 분단 된 남한과 북한의 외교관들이 치열하게 외교 전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대사관 안에서도 외교부 직원들과 안기부 직원인 강대진 사이의 갈등이 보이며, 기독교인 한신성 대사관의 아내와 불교인 직원 사이의 작은 갈등까지 영화속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각자의 속성으로 벽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내전이 발발하자 모가디슈는 갈등을 넘어서는 비극의 장소로 변합니다.
3. 영화 <모가디슈> 등장인물(스포포함)
강대진과 태준기는 남, 북의 정보기관 요원들입니다. 휴전중인 두 국가에서 이 두사람은 전방에서 싸우는 군인과 같습니다. 가장 혈기왕성한 두 인물은 영화 초반부터 부딪히는 모습을 보입니다. 결국 남한 대사관 안에서 강대진이 전향 문서를 위조하다가 두사람이 몸싸움까지 하게 되는데 이 장면은 두 집단의 갈등과 긴장이 '군인'으로 표현되는 두 사람의 물리적인 충돌로 발전했다고 보입니다.
두 인물의 가장 큰 차이점은 강대진은 생존하고 태준기는 죽는다는 점입니다. 태준기는 북한 대사관에 침입한 반군 강도들에게서 직원들을 지키려다 무자비한 폭행을 당하게 됩니다. 국가와 국민을 지키기 위해서 위험을 무릅쓰는 군인의 모습입니다. 남한 대사관에서도 가장 날카로운 태세로 강대진의 행동을 감시합니다. 강대진 역시 마찬가지로 대사관을 지킬 병력을 얻어내기 위해 경찰의 총 앞에 나서며 위험에 자신을 내던져 일행을 지켜냅니다.
영화의 막바지에 이르러서 태준기가 임무를 다 하고 죽은 것과 이를 발견한 강대진의 모습은 갈등과 대립의 비극 속에서 젊은이들이 어떻게 희생되는지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면서 동시에 반대편에 선 같은 입장의 강대진의 심경 변화를 통해 관객들을 이 비극에 몰입시킵니다.
한신성은 대한민국의 외교대사로 대한민국의 UN 가입을 위해 소말리아의 지지를 받으려고 노력하는 인물입니다. 흔히 국제관계는 냉혹한 외교정치라고 합니다. 그만큼 모두가 철저히 국익을 위해서 행동하고 실리적인 결과를 따라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한신성이라는 캐릭터는 보여지는것, 결과물에 치중합니다. 보도자료로 내보낼 사진을 찍을 현수막을 기다리며 "가장 중요한것" 이라고 말하는 첫 장면에서 이 성격이 잘 드러납니다.
지원 사업의 내역이나 효과보다 UN 가입과 그것을 위한 외교를 이렇게 잘 하고 있다는 보도가 중요한 것이라는 뜻입니다. 그가 가진 외교관이라는 직책은 국익을 위한 외교의 최전선입니다. 그만큼 한신성은 국가적 정체성과 실리적인 국익, 자신의 실적을 위해 움직이는 인물입니다. 그러나 영화의 시간이 흐름에 따라 국가나 직업, 사상들에서 멀어지고 한신성이라는 사람의 본질에 가까워져 갑니다.
북한의 외교대사는 림용수는 한신성보다 노련한 수완으로 남한측의 외교를 번번이 훼방놓습니다. 초반에는 카리스마 있는 모습을 보여주지만 혼자서 일행을 이끌어 가던 중 자신만의 힘으로는 위기를 헤쳐나가지 못하고 한신성 대사의 도움을 받으면서 점차 인간미 있는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합니다.
북한의 수장을 상징하는 인물로서 한신성에게 연설이 아니라 대화를 하라는 핀잔을 듣거나 마지막 총격 장면에 차에서 내리지 않는 림용수에게 한대사가 나오라고 구박하는듯이 말하는 장면들은 감독이 남북 관계에서 북한의 태도를 비유해 꼬집은 장면입니다.
4. '인류애'를 느낄 수 있는 재밌는 장치(스포포함)
내전이 본격화되자 본국과의 통신이 끊기게 되고, 정부의 지시를 받기는 커녕 현재 상황을 알리지도 못하게 됩니다. 상황이 심각해지자 외교관의 지위도 보장받지 못하고 경찰들은 달러 없이는 보호도 해주지 않습니다. 인물들은 점차적으로 생존이라는 본질에 무게를 두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생존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이익이나 사상을 넘어서 연대하는 '인류애' 입니다.
북한대사 일행이 남한 대사관을 찾았을 때 고민에 빠진 한신성에게 강대진은 전향 실적을 낼 수 있다며 설득합니다. 결국 한차례의 총격전이 지나간 뒤 그들을 받아들이는 한 대사는 "애들 밥은 먹였소?" 라는 질문을 합니다. '어린이'는 많은 가치관을 넘어서는 인류애의 기본입니다. 밥을 먹었냐는 안부 역시 한국 사람들 특유의 인사로 같은 민족의 동질감을 느끼게 해 벽을 허무는 장치 같았습니다.
동질감을 느끼게 하는 장치로 가장 눈에 띄는것은 깻잎 입니다. 한국 사람들만 먹는 음식이며, 먹을 때는 한장만 떼기 불편하고 함께 밥먹는 사람이 잡아주는 문화를 가진 깻잎장아찌처럼 같은 민족끼리만 공유할 수 있는 문화를 통해 두 집단의 연결성을 잘 표현했습니다.
5. 비극적 갈등의 시대, '인류애'를 가지자!
이탈리아 대사관 앞에 도착한 이들은 반군과 정부군의 총격 사이에 놓이게 됩니다. 간신히 이탈리아 대사관에 의해 총격이 멈추고 한신성 대사는 이탈리아측에 우리는 한국사람이니 쏘지 말라며 소리칩니다. 남북의 사람들이 하나로 모여서 남북 관계없이 코리아를 외치는 대사는 굉장히 의도적입니다.
목숨을 위협받는 전란 속에서 외적인 속성을 모두 걷어내고 인류애와 동질감으로 뭉친 이들은 결국 모가디슈, 즉 갈등의 공간을 탈출하게 됩니다. 현대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집단이 수많은 이유로 서로를 혐오하고 대립합니다. 이 비극적인 갈등의 시대에서 우리가 탈출하기 위해 필요한 것인 '인류애'를 말하는 영화 <모가디슈> 입니다.
'#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타이타닉::바닷속에 잠겨버린 두 남녀의 슬픈이야기 (0) | 2023.01.20 |
---|---|
영웅::우리의 영웅, 안중근 의사의 마지막 1년 (0) | 2023.01.20 |
라라랜드::꿈꾸는 바보들을 위한 뮤지컬영화 (0) | 2023.01.20 |
스위치::자고 일어났더니 첫사랑이 아내가 되었다 (0) | 2023.01.20 |
올빼미::역사에 기록되지 않은 소현세자에 관한 이야기 (0) | 2023.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