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 포스터

 

 

1.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 줄거리

 주인공 세연은 평범하다면 평범한 '엄마'입니다. 남편인 '진봉'을 사랑해서 결혼한 사람, 결혼한 후에는 가족을 위해 자신을 헌신해온 사람, 한 사람의 여자이기보다는 '엄마'로 기억되는 사람, 손에는 물이 마를날이 없고 남편 챙기랴 아이들을 챙기랴 정신없는 일상을 살아갑니다. 하지만 그녀의 행복은 길지 않았습니다. 그녀에게 청천벽력 같은 질병이 찾아온 것입니다. '폐암 말기' , 그녀의 삶이 끝나기 까지 남은 시간은 2개월이 고작이었고 남은 시간은 많지 않았습니다.

 그녀의 시간은 멈췄지만 자신의 암 소식을 알리는 것조차 쉽지 않았습니다. 그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진봉은 이야기를 듣자마자 아이들을 먼저 걱정하면서 세연에게 동정조차 사치라는 식의 태도를 취합니다. 이에 참다참다 폭발한 세연은 '첫사랑을 만나고 싶다'는 폭탄발언을 합니다. 만약 들어주지 않는다면 이혼하겠다는 협박과 함께 말입니다. 이렇게 영화의 초반부 흐름은 충격과 비애가 흐릅니다.

 엄마를 쳐다도 보지 않는 아들, 그리고 방에서 문을 걸어잠그고 사는 딸, 지지리 말도 안듣는 '진봉'. 그나마 남편이 운전을 해주는 덕에 세연은 자신이 다니던 고등학교를 찾아갑니다. 그곳에서 첫사랑의 소식을 듣고 이야기는 과거 회상으로 향합니다. 고등학교 시절 방송반 동아리 활동으로 만난 첫사랑 정우의 이야기 입니다. 세연은 정우에게 관심을 가지게 되고 두사람은 이문세의 '별밤'을 보러 서울까지 가면서 가까워 집니다.

 이후 세연의 모험은 정우를 찾는 여정으로 연출됩니다. 고등학교에서는 학생의 개인정보를 알려주지 않았고 진봉은 어쩐지 그 사실에 신이 났습니다. 하지만 부산으로, 다시 섬으로 향한 세연은 진실을 알게 됩니다. 자신을 사랑한다고 생각했던, 그리고 편지를 준것도 자신을 위한 것이라 생각하고 정우를 오해하고, 오히려 친구인 현정이 이간질을 했다고 생각한 세연은 사실 정우가 좋아했던 것은 세연이 아니라 현정이었다는 사실을 알게됩니다.

 그렇게 이곳저곳을 다니며 세연과 진봉이 함께 지내던 시절의 이야기가 펼쳐집니다. 목포든 어디든 진봉과 세연이 같이 다니는데, 어디를 가더라도 두사람이 함께했던 추억이 있습니다. 부산에서는 둘이 신혼여행을 갔던 추억이 있고, 세연이 대학시절을 떠올리게 되면서 처음으로 만난 진봉의 스토리는 절절합니다. 세연이 고등학교때 오해했던 첫사랑과는 비교도 되지 않을 정도로 절실하게 세연을 원했던 사람은 진봉이었습니다. 세연도 진봉에게 사랑을 느꼈고 영화는 두사람의 사랑을 무한 긍정하면서 앞으로 나아갑니다.

 

 

2. 뮤지컬의 힘이 더해져 감동적인 영화

 영화의 초반에서 엄정화 배우가 노래를 시작하는 장면은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를 좋아할 수 있는 사람과, 이 영화에 공감하지 못하는 사람이 갈리는 장면입니다. 염정화의 노래에 공감해서 울컥 감정이 나오는 부류의 사람이 있고, 감정이 잘 동하지 않는 사람이 있을 것입니다. 전자의 관객들에게 <인생은 아름다워>는 영화 끝까지 같은 종류의 감동과 웃음을 선물합니다. 하지만 후자의 사람들에게는 식상하고 평범한 이야기가 한편 있을 뿐입니다.

 뮤지컬의 힘은 대단합니다. 음악과 춤을 통해서 이야기를 전달하는 이 과정을, 영화는 뮤지컬의 판타지와 현실의 교차로 설명합니다.예를 들어 세연과 진봉이, 세연이 어렸을 때 살았던 동네이자 첫사랑과 처음 만났던 목포로 방향을 잡고 출발하는 순간 세연의 들뜬 마음이 노래와 춤으로 표현됩니다. 첫 휴게소 장면으로 이어지는데 이 장면에서는 세연의 감정과 기분 뿐만아니라 이 영화가 전하려는 메시지, 휴게소의 다양한 인간 군상을 뮤지컬 답게 함축해서 보여줍니다. 현실의 지루한 부분을 잘라내고 영화를 만드는 것이라면, 뮤지컬은 그 현실에서 보여주고 싶은 것들을 핵심만 쏙쏙 뽑아 과장해서 보여주는 방식을 택합니다. 그 환상과 이야기의 결합이 펼쳐지는 것이 초반 뮤지컬 장면의 힘입니다.

 

 

3.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쥬크박스 뮤지컬영화

 영화 <인생은 아름다워>는 원래 2020년 연말에 개봉 예정이었으나, 코로나 때문에 개봉이 밀리게 되면서 2년만에 상영하게 된 영화입니다. 뮤지컬 영화라는 장르적 특징도 가지고 있지만 과거의 향수를 불러온다는 것이 가장 큰 매력인 작품입니다. 서울극장과 이문세의 별밤을 듣고 자랐던 관객들이라면 이 영화에 큰 공감을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